References
- 강은아. (2004). 세계 문화 시민 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.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교육부. (2015a).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(고등학교). 교육부 고시 제2015-74호. 서울.
- 교육부. (2015b).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(고등학교 영어). 2018년 7월 26일, http://www.edunet.net/nedu/ncicsvc/listTchLearn2015.do?boardNum=3&menu_id=703에서 다운로드함.
- 교육부. (2015c). 영어과 교육과정. 교육부 고시 제2015-74호 (별책 14). 서울.
- 교육부. (2015d).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. 교육부 고시 제2015-74호 (별책 1). 서울.
- 김경한. (2008). 영어과 문화교육과정 확립 방안. Journal of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Society, 7(2), 17-37.
- *김길중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경기도: ㈜다락원
- *김성곤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엔이능률.
- 김연희. (2011).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비교 분석.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김옥이. (2011).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.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*김태영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천재교육.
- 남계령. (2011). 제7차 개정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세계문화에 대한 연구.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류다영. (2013).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영미문화 내용분석: 2011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중심으로.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& Management, 11(11), 71-83.
- *민찬규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지학사.
- 박상옥. (2014). 중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문화지도 방향: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소개. 영어교과교육, 13(3), 61-82.
- *박준언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와이비엠.
- 안채영. (2011).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및 학습자 선호도 분석: 읽기 부분과 문화란을 중심으로.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*양현권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엔이능률.
- 유영삼. (2013). 한국과 핀란드의 영어교과서 비교·분석.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윤혜영. (2009).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공통영어교과서 문화내용 분석.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이강혁. (2005).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읽기 자료에 나타난 문화내용 분석.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*이병민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동아출판㈜.
- 이아롱. (2008). 한국, 중국, 일본 영어교과서 문화적 소재 비교연구.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*이재영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천재교육.
- 임병빈, 구소영. (2005).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소재 분석과 지도 방안. 영어어문교육, 11(1), 155-177.
- 임정완. (2015).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1 인정교과서 문화지도 내용 비교분석. 언어학, 23(1), 183-202.
- 임정완. (2017).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II 교과서 문화내용 비교 분석. 영어영문학, 22(2), 233-257.
- 전영희. (2009).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.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조선아. (2005).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문화지도 내용 분석과 효과적 지도방안 연구.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조정림. (2009). 한국·중국·일본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구성과 문화내용 분석.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.
- *최인철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금성출판사.
- *한상호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와이비엠홀딩스.
- *홍민표 외. (2018). High School English. 서울: ㈜비상교육.
- Byram, R. (1997).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. Clevedon: Multilingual Matters.
- Chastain, K. (1976).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: Theory to practice (2nd ed.). Chicago: Rand McNally.
- Hymes, D. (1964). Language in culture and society: A reader in linguistics and anthropology. New York: Harper and Row.
- Lado, R. (1964). Language teaching: a scientific approach. McGraw-Hill International Book.
- Lee, K.-Y. (2009). Treating culture: What 11 high school EFL conversation textbooks in South Korea do. English Teaching: Practice and Critique, 8(1), 76-96.
- Lee, K.-Y. (2010). Korea English: Its historical, educational, sociolinguistic, and sociocultural aspects. The Journal of Modern British & American Language & Literature, 28(4), 67-87.
- Lee, K.-Y. (2012). Towards intercultural English learning/teaching (IELT): An intercultural approach to World Englishes. Modern English Education, 13(2), 81-100.
- McKay, S. L. (2000). Teaching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: Rethinking goals and opportunities. New York: Oxford University Press.
- Rivers, M. (1981). 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(2nd ed.). Chicago: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.
- Seelye, H. N. (1984). Teaching culture: Strategi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. Illinois: National Textbook Compan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