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ferences
- 김소야. (2006). 한국어 평음/경음/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 연구. 이중언어학, 32, 57-79.
- 김지연. (2010). 중국인 자연발화 발음 오류 분석 연구.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.
- 김태경. (2014).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. 국제어문, 62, 405-425.
- 김태경, 백경미. (2010). 학령전 아동의 발음 오류에 관한 연구 -음운 변동을 중심으로. 국제어문, 49, 7-34.
- 김태경, 백경미. (2014).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 나타난 자음 탈락 현상 연구 -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발화를 대상으로-. 국제어문, 63, 257-281.
- 노금송. (2000).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.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.
- 박시균, 최경복. (2014). 중국인 학습자의 겹받침 오류분석 -겹받침 앞뒤 선택의 오류를 중심으로-. 언어학, 22(4), 317-338.
- 백경미. (2012). 제1언어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과 형태 습득 비교.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.
- 신지영. (2015). 말소리의 이해. 한국문화사.
- 신호철. (2003). 한국어 유음의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 -중국어 모어 화자를 중심으로-. 국어교육학연구, 16, 253-272.
- 양순임. (2007). 연음규칙 적용에 따른 오류 분석 -중국인 학습자의 중간언어를 대상으로-. 한국어교육, 18(3), 123-144.
- 오발. (2014).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자료에 나타난 중간언어 양상. 중국조선어문, 3, 45-51.
- 위원징, 홍미주. (2013). 중국인 학습자의 청취·발음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평음·경음·격음 교육 방안 연구. 한국어교육, 24(4), 155-191.
- 윤영해. (2008). 중간언어 음운연구를 바탕으로 한 발음교육의 효과 연구 -중국인 화자들의 받침 발음을 중심으로-. 한국어교육, 19(2), 239-256.
- 윤정기. (2012). 음운규칙 적용에 따른 중간언어 연구 -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발음을 중심으로-. 한어문교육, 27, 539-561.
- 이은주, 우인혜. (2013).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/ㄱ. ㄷ. ㅂ/ 발음 교육 방안 -한국어 음절 구조를 중국어 음절 구조에 반대로 적용하여-. 새국어교육, 97, 327-359.
- 이정희 외. (2013). 대화 분석을 통한 외국인의 한국어 구어 사용 연구. 도서출판 하우.
- 이현복, 심소희 편역. (1999). 중국어 음성학. 교육과학사.
- 장향실. (2011).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. 이중언어학, 46, 367-390.
- 정효주, 김영주. (2012). 중국인 학습자의 유음화 발음 오류 연구. 한말연구, 31, 283-306.
- 한재영 외. (2008). 한국어 발음 교육. Hollym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