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ferences
- 권현자, 김주후. (2011). 고등학교 학생에 의한 영어수업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, 교육과정평가연구, 14, 257-277.
- 김경미, 이충현. (2005). 영어 협동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적인 협동수업의 방향. 초등영어교육, 11(2), 133-171.
- 김나영. (2005).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협동수업에 관한 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대전.
- 김영숙. (2006).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(Co-teaching)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 및 영어 불안에 미치는 영향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이화여자대학교, 서울.
- 김종한. (1998). 고등학생의 교사수업평가에 관한 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대전.
- 김충행. (1997).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학생에 의한 대학 강의 평가의 분석. 교육과정연구, 15(11), 203-240.
- 민찬규 외. (2013). 중등 영어교사 양성기관의 원어민 강사 활용 정책에 대한 효과성 분석. 영어영문학 연구, 55(4). 133-160.
- 민찬규 외. (2014). 초. 중등 영어교사 양성기관의 원어민강사활용정책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설정의 방향. 서울대학교 한국초등교육, 25(3), 93-110
- 박미정. (2009).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활용한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. 미출간 석사학위논문,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청주.
- 박서경. (2007). 중학교에서의 원어민 협동수업 사례와 개선방안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서울.
- 박약우. (2006).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역할. 한국 초등영어교육 학회회보 제 20호 (2006.6)
- 박정숙, 김대진. (2000). 원어민 영어교사 팀티칭의 교육효과: 대체적 수업모형과의 비교실험. 외국어교육, 7(1), 97-121
- 박정임. (2005). 원어민 교사가 중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공주.
- 박용익. (2003). 원어민 교사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 영어 교수학습 방법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공주.
- 서희정. (2008). 원어민 협동 영어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성격유형과 정의적 요인의 관계 및 효과적인 협동수업 방안 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, 서울.
- 윤유진. (2008). 영어원어민 강사운영실태 및 직무만족도 연구: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. 현대영어교육, 9(3), 152-188.
- 이미진, 성귀복. (2011). 영어 협력수업에서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역할 양상 연구. 문화연구, 17(1), 225~260.
- 이수진. (2007).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협동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동기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, 대구.
- 이인철. (2004). 원어민 보조교사 활용이 중학교 영어 듣기 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서울.
- 이정임. (2008). 영어 원어민보조교사 활용수업의 실태 및 효율성에 관한 연구: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서울.
- 이종복, 원은석. (2009).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직스트레스 및 교직만족도 조사. 서울: 한국연구재단.
- 임정원. (2002).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에 의한 교사평가 가능성 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논문,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, 부산.
- 정희정. (2009). 중등학교 원어민 보조교사와 내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 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서울.
- 채아정. (2007). 한국 중학교 영어수업에서 내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동수업 사례연구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.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, 서울.
- 최춘옥. (2005). 영어교육 내실화를 위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도 제고 방안. 서울교육, 114-121
- 황필아. (1995). 원어민/비원어민 교사가 외국어 학습자의 태도/동기와 성취도의 상관관계 양상에 미치는 영향.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, 서울대학교, 서울.
- 홍성심, 정양수. (2006).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원어민 영어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연구. 현대영어영문학, l50(3), 137~164.
- Cohen, P. A. (1981). Effectiveness of student ratings feedback and consultation of improving instruction in dental schools. Journal of Pentel Education, 55(2), 145-150.
- FinKelstein, M. J. (1995). College faculty as teachers. In H. Wecksler(Ed.), The NEA 1995 Almanac of Higher Education (pp. 33-37). Washington, D. C. :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.
- Linacre, J. M. (2006). WINSTEPS: Rasch Analysis for all Two-Facet Models. Version 3.60. Chicago : MESA Press.
- Linacre, J. M. (2006). WINSTEPS(Version 3.61.2) [computer software]. Chicago : Winsteps. com
- Marsh, H. W. (1987). Students\'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: Research, findings, methodological issues,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.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, 11, 254-388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