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ferences
- 강영리. (2016). ‘-ㄹ까’의 의향 용법에 대한 연구.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.
- 김하수. (1979). ‘-ㄹ까’의 의미와 통사적 특징.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, 4, 55-78.
- 박미은. (2016). 지시 화행에 사용되는 “-(으)실게요” 연구. 한국어 의미학, 51, 137-154.
- 박재연. (2006).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. 서울: 태학사.
- 박재연. (2013). 한국어 의도 관련 어미의 환유적 확장. 국어학, 68, 253-288.
- 안주호. (2017). 종결어미 {-(으)실게요}의 기능과 형성과정. 담화와 인지, 24(1), 47-67.
- 윤재학. (2000). 연접적 ‘이나’. 언어와 정보, 4(2), 41-54.
- 임동훈. (2001). ‘겠’의 용법과 역사적 해석. 국어학, 37, 115-147.
- 조숙환. (2009). 국어 인식양태소 구조의 인지언어학적 접근: 시점 이동과 역동적 심성 공간의 융합. 언어, 34(1), 113-132.
- Brown, P., & Levinson, S. C. (1987). Politeness: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. 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.
- Kamp, H. (1978). Semantics versus pragmatics. In G. Guenthner & S. J. Schmit (Eds.), Formal semantics and pragmatics for natural languages (pp. 255-287). Reidel: Dordrecht.
- Lakoff, G., & Johnson, M. (1980). Metaphors we live by. Chicago: University of Chicago Press.
- Lakoff, R. (1973). The logic of politeness; or, minding your p's and q's. In Papers from the 9th regional meeting, 292-305.
- Leech, G. (1983). Principles of pragmatics. London: Longman.
- Yoon, J.-H. (2021). Semantic inflation and pronoun avoidance. Linguistic Research, 38(3), 469-49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