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ferences
- 강희숙. (2012). 통신 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-접두사 ‘개’의 용법을 중심으로. 한민족어문학, 61, 61-87.
- 김정선, 이필영, 김태경, 이삼형, 장경희, 전은진. (2011).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, 유행어, 은어 사용 실태. 한국언어문학, 77, 285-324.
- 김정선, 이필영, 김태경, 이삼형, 장경희, 전은진. (2013).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와 공격적 언어 표현 사용 실태 조사. 국어교육, 140, 153-181.
- 김태경, 장경희, 김정선, 이삼형, 이필영, 전은진. (2012). 청소년의 비속어, 욕설, 은어, 유행어 사용 실태와 언어 의식 연구. 국제어문, 54, 43-93.
- 노명희. (2013). 국어의 탈문법화 현상과 단어화. 국어학, 67, 107-143.
- 배상복. (2016). [우리말 바루기] 개좋다. 중앙일보 온라인주소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19838076
- 손평호. (2014). ‘개-’의 생산성과 범주 설정의 문제-신어 ‘개+X’ 유형을 중심으로. 우리말연구, 39, 85-116.
- 엽영임, 양명희. (2016). 강조어 ‘완전’의 사용에 대한 고찰-구어와 통신언어를 중심으로. 한국어 의미학, 52, 251-269
- 이탁. (1967). 국어 어원 풀이의 일단. 한글, 140, 26-72
- 이하얀, 황화상. (2017). ‘완전’의 문법 기능의 확장에 대하여. 한국어학, 74. 147-167.
- 임현열. (2015). 신조어에서 나타나는 어형 변화의 한 양상-정도부사 ‘캡( 캐 > 개’의 변화를 중심으로. 어문론집, 63, 111-136.
- 장경현. (2019). 신조어 접사의 형태·의미 특성 연구. 열린정신 인문학연구, 20(1), 311-336.
- 장부리. (2012). 한중 통신언어의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비교 연구.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.
- 전은진, 이삼형, 김정선, 김태경, 이필영, 장경희. (2011). 문자 언어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 실태 연구. 청람어문교육, 43, 371-406
- 정상준, 윤보현, 오효정. (2019). 언어 네트워크 기반 대통령기록물 관련 이슈 및 매체별 특성 분석. 한국비블리아학회지, 30(1), 181-207.
- 표준국어대사전. (2020). 국립국어원. 온라인주소 https://stdict.korean.go.kr/main/main.do
- 홍달오. (2014). 접두사의 준부사화 경향에 대한 고찰 접두사 ‘개’를 중심으로. 언어, 39(1), 231∼249.
- Oh, H.-J., Kim, C.-H., & Jeon, J.-G. (2020). Public sense of water fluoridation as reflected on Twitter 2009-2017. Journal of Dental Research, 99(1), 11-17.